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자격요건 (5월 신규)
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를 5월1일부터 모집합니다. 청년이 월10만원 저축시 정부도 같은 금액을 지원해 3년 만기시 원금 720만원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청년내일 저축계좌 자격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란
"청년내일저축계좌"는 국가에서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로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는 자산형성지원사업 중 하나의 제도입니다.
가입대상에 따라 희망저축계좌Ⅰ, 희망저축계좌Ⅱ,청년내일저축계좌로 구분되며 희망저축계좌와는 달리 대상자가 청년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.
2023년 5월1일부터 신규가입자를 모집 하고 있으며 7월 시행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도 가능하기때문에 자격여부 조회 후 꼭 신청하셔야 하는 복지 정책입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
신청기간 및 신청방법
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 ,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.(신청시 청년 본인이 신청 및 통장 개설이 필요- 하나은행) 신청 전 자가진단표 작성필요
방문접수 - 읍면동 주민센터 23.5.1.(월)~'23.5.26.(금)
- 신청시작 2주간(5.1~5.12) 출생일 기준 5부제를 적용
- 월요일(5월 1,8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1,6
- 화요일(5월 2,9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2,7
- 수요일(5월 3,10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3,8
- 목요일(5월 4,11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4,9
- 금요일(5월 12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5,0
온라인 - 복지로 사이트 신청 : 23.5.15.(월)~23.5.26.(금)
제출서류
필수서류와 근로형태에 따른 소득증빙서류 및 기타 증빙서류
첨부파일 확인하세요.
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
지원대상
연령·소득기준·가구소득·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총족한 청년을 지원합니다.
(가입연령)
신청 당시 만 19세~만 34세 청년
* 단, 수급자·차상위자·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자는 만 15세~만 39세까지 허용
2023년 기준 중위소득 최신정보 혜택(복지로)
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여러 복지혜택과 정부제도를 이용하실 때 꼭 알아야 하는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금액과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기준중위소득이란? 기준중위소득은 국민기초생
yourinfoview.com
(근로·사업소득)
현재 근로활동 중이며, 근로·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~월 220만원 이하
* 단,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·기준 중위소득 50%이하 자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,사업소득이 월10만원 이상 발생
(가구소득)
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(가구재산)
대도시 3.5억원, 중소도시 2억원, 농어촌 1.7억원 이하
지원내용
지원요건
(기준중위소득 50% 이하)
매월 10만원 이상 저축 + 3년간 근로활동 지속 + 교육이수 + 자금사용계획서 = 근로소득장려금 1,080만원 지원
(기준중위소득 50% 초과~100% 이하)
매월 10만원 이상 저축 + 3년간 근로활동 지속 + 교육이수 + 자금사용계획서 = 근로소득장려금 360만원 지원
* 자산형성포털 및 자활정보시스템(교육훈련)을 이용하여 교육 이수
지원금액 금리(이율)
기본금리 연 2.0%에 최대 연 3.0%의 우대금리를 더해 최대 연 5.0%까지 적용 가능
- ▲급여 및 주거래 이체 연 1.2%
- ▲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·보유 연 1.0%
- ▲마케팅 동의 연 0.5%
- ▲‘하나 합’ 서비스 등록 연 0.3%
- 매월 본인 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본인저축액 10만원 이상(매월 전월 23일~현월 22일 입금마감일 이전) 대비 정부지원금을 정액 매칭
- 3년간 통장유지, 근로활동 지속, 교육이수, 자금사용계획서 제출시 적립금 전액을 지급
- 본인의 의지에 따라 최대 50만원까지 만원 단위 자유적립식 저축 가능
- 가입 이후 계층이동(중위50%이하 ↔ 중위50%초과)이 발생하더라도 가입 시점 기준으로 지원금 적립
- 유지, 변경 희망시 환수해지 후 재가입 필요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(근로소득공제금(생계급여 수급 청년), 탈수급장려금, 내일키움장려금, 내일키움수익금 등) 지급 가능
지금까지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외 문의사항은 자산형성지원 콜센터 1522-3690 / 보건복지상담센터 129/ 복지로 상담센터 1566-0313로 문의하세요.
함께보면 좋은 글
차상위계층 기준 혜택 2023년
차상위계층은 여러 복지제도에서 많이 언급되는 용어입니다. 오늘은 "차상위계층"이란 무엇이며 차상위계층 기준과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차상위계층의 대상자 선정기준 차상위계층이
yourinfoview.com
2023년 최저임금과 연봉실수령액 계산기
2023년 최저임금은 작년대비 5% 오른 9,620원으로 정해졌습니다. 이에 따른 최저임금으로 계산된 월급과 2023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최저임금제도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사
yourinfoview.com
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4월부터 삼성페이 가능!
알뜰교통카드는 국민 교통비 절감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 시 보행, 자전거 등 이용거리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가에 마일리지를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대중교통비의 최대 30%를 절감할 수
yourinfoview.com
댓글